Soohyun’s Machine-learning

[NLP] Character-Aware Neural Language Models 본문

Machine Learning/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Character-Aware Neural Language Models

Alex_Rose 2019. 10. 29. 21:37

 

Contribution

character level의 embedding을 통해 word-level language model의 성능을 향상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네트워크 자체는 당시 보편적인 걸 사용했지만, input으로 char-level을 사용함으로써 word-level embedding이 정말 필요한 것인가-라는 의문을 제기한다. 영어, 체코어, 독일어, 스페인어, 불어, 러시아어, 아랍어 데이터셋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형태소가 풍부한 언어일수록 성능차이가 word-level 대비 더 좋게 나왔다. 여기까지가 장점이며 단점으로는 성능은 괜찮지만 char-level 자체가 efficiency - time tradeoff가 있다.)

 

 

Abstract

  우리는 오로지 Char-level inputs에만 의존하는 simple neural language mpodel을 설명할 것이다. (다음 단어에 대한) predictions는 여전히 word-level에서 이루어진다. our model은 characters에 대한 CNN과 Highway network를 사용한다. 이 output은 LSTM으로 들어간다.

  English Penn Treebank (PTB) 데이터셋에서 이 모델은 60% 더 적은 파라미터에도 현존하는 SOTA (2015년도 기준)에 준하는 성능을 보였다. 형태가 다양한 언어들(rich morphology - 아랍어, 체코어,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러시아어)에서 이 모델은 word-level/morpheme-level (단어 레벨/형태소 레벨) LSTM baseline을 outperform한다.

  여전히 더 적은 파라미터들에도 불구하고 논문의 결과는 많은 언어들에서, language modeling (언어 모델링)에 character inputs가 sufficient하다는 걸 시사(suggest)한다. 


 

본 논문의 모델의 Task는 next word prediction이다. 

 

 

 

 

 


요약본


- epoch은 아랍어가 아니라면 25번, 아랍어만 30번 

- 백프로파게이션은 35 time steps만 진행 (코드로 보면 sentence 길이가 35가 넘어가면 자름)
- Learning rate는 1로 시작해서 0.5 weight decay

- 모델의 파라미터들은 [-0.05, 0.05]의 uniform distribution으로 random initialization

- drop out = 0.5 (다만 Highway network -> LSTM으로 최초로 갔을땐 dropout 적용을 안 함)
- Gradient norm = 5 (5가 넘어가면 다시 5로 renormalization)

- Hierarchical Softmax는 데이터 사이즈를 키웠을때 (DATA-L)에만 적용해주었다. DATA-S 상태에서는 효과가 없었다

1. Preprocessing 단계

데이터셋은 언어별로 다르며, 영어의 경우 Penn Tree Bank 데이터셋 (Mikolov가 전처리한 버전, vocabulary size가 10K) 사용


3종류의 embedding matrices를 사용

1) character-level embedding matrix (input으로 들어갈땐 word 형태로 들어감, 이 논문의 contribution)
2) word-level embedding matrix (비교를 위해서)
3) morpheme matrix (prefix(접두사) + stem(어간) + suffix(접미사)) + word-level embedding matrix


여기서 3)번의 morpheme matrix는 morphemes를 얻기 위해서 Morfessor Cat-MAP(Creutz and Lagus 2007, unsupervised morphological tagger)을 썼다고 함. 


2. CharCNN

1) CNN 코드상의 kernel width w = [1,2,3,4,5,6,7] (large model 기준, small model은 1~6까지만)이고 height는 15-dim이다. hidden 수는 [50,100,150,200,200,200,200]

2) 각 Convolution 마다 max값을 취하고, 그렇게 한 번 stride 하고 tanh를 적용시켜주고 나면, 첫번째 필터에 대한 max값들의 모음인 vector 하나가 나온다. 이 vector의 max값을 다시 취한다. 

3) max값끼리 concatenate를 한다. 이렇게 나온 벡터가 뒤의 Highway Network의 input이 된다.


3. Highway Network

다른 논문에서는 x였던 것을 여기에서는 CharCNN의 output값인 y를 넣어준다.

1) y를 받아서 affine transformation W_(T) * y + b_(T) 연산을 해준다.  (임베딩 행렬 x 인풋 + 바이어스)
2) 1)의 결과값에 Sigmoid를 씌운다. 이 값이 transform gate t가 된다.
3) 2)의 값과 ReLU(W_(H) * y + b_(H))를 element-wise product를 해준다. 
4) 다음으로 (1 - t) 즉, 숫자 1에서 2)의 결과값을 빼준다. 이게 carry gate이다.
5) 4)번의 carry gate와 y를 곱해준다. 
6) 마지막으로 3)의 값과 5)의 값을 더해서 LSTM으로 보낸다.

- 위의 W_(T)와 W_(H)는 모두 연산의 편리성을 위해 square matrix(정방 행렬)이며, 파이토치 코드로는 nn.Linear(dim, dim)이 된다.


- Highway Network의 bias들은 -2 (마이너스 2)로 들어감
- 레이어의 개수는 2개가 좋다. 그 이상으로 늘려도 더 효과가 없음

- 이 논문에서 Highway network는 semantic features를 아는 것 같다고 함 (character-level input을 더 의미있게 만들어줌. 왜냐하면 여기를 통과하기전 상태에서는 단어의 외부적인 모습 --you, your, young 등등--을 인식한 모습을 보여주는데, Highway를 통과한 이후에는 you, we 같은 semantic한 것들도 잡아내기 때문.

이는 통과하기 전과 통과한 후에 Nearest Neighbor를 적용해서 체크했다)

- Ax + b 형태의 수식 자체가 affine transformation이다. Ax는 그냥 선형이고, b가 있어야 affine transform.


4. LSTM  

 

 

 

Character-level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t : timestep
[someone, has, a, dream, ...]

C : vocabulary of characters
the size of character embeddings : 15 (논문 & 코드)

d : the dimensionality of character embeddings
논문에 쓰인 d는 15차원,

만약에 word k = ['k','n','o','w']라면 길이 l(small L)=4, embedding dimension d는 15로, 'know'에 대한 character-level embedding vector의 차원은 15 by 4의 column vector (또는 4 by 15의 row vector)

(assumption) embedding시의 vector initialization은 random하게 준다. 

Q : R^(d x |C|), matrix character embeddings
|C|는 cardinality of vocabulary of all characters

Q는 전체 words에 대한 character embedding이 있는 matrix

C^(k) : word k에 대한 matrix of character embedding
word의 character 개수가 5개라면, 15 x 65(max_word_length)의 matrix가 됨.


가장 긴 단어의 길이에 맞춰서 zero padding이 들어가고, START, END,<EOS>가 전부 들어간다. 여기서 STAR/END는 단어의 시작/끝이고, EOS는 raw data input이 sentence로 들어오기 때문에 필요한 것.

H : filter (=kernel), ∈ R^(d x w)
w = conv filter의 width.  w = [1,2,3,4,5,6,7] (large 기준)


d x w 즉, [15 x 1], [15 x 2], [15 x 3], [15 x 4], [15 x 5], [15 x 6], [15 x 7]의 H 커널 매트릭스가 모든 단어에 대해 곱해짐.


이때 Frobenius inner product를 썼다고 되어 있는데, 2차원에서는 element-wise product와의 차이를 모르겠음.

f^(k) ∈ R^(l-w+1) : a feature map   
h (small h)
the hidden size of kernels : 650 (=h, Large 모델 기준)

 


feature map f가 만들어지는 과정








kernel matrix H로 product해주는 과정이 일종의 n-gram 형태로도 볼 수 있기 때문에, 이를 char n-gram이라고 한 것 같다.

 

 

코드 예시

##왜 sigmoid지? -> 당연히 해줘야 하는 부분. 논문에서 non-linear function을 sigmoid, tanh, relu로 다 썼다.


 



 


 


이렇게 해서 나온 결과가 y^(k) : vector 맞음, y도 벡터이며 y^(k)는 특정한 단어 k에 대한 matrix representation이라는 걸 나타내려고 한 것 같다. 

 

 

 

 

Highway network

 

We could simply replace x^(k) with y^(k) at each t in the RNN-LM. 

 

y : output from CharCNN

By construction, the dimensions of y and z have to match, and hence W_(T) and W_(H) are square matrices.

 

 

self.Wh = nn.Linear... 인 이유는 Wh * y + bh의 affine transformation이기 때문인듯. 

Q. 이 코드에서 word_dim * word_dim인 이유는? W는 차원을 맞춰주려고 h든 t든 모두 square matrix이기 때문. 코드로는 nn.Linear(word_dim, word_dim)

 

transform_gate는 non-linear (torch.sigmoid) 들어갔고

carry_gate도 1에서 transform_gate 값을 빼주는 것도 맞고

여기서 x는 아마도 CharCNN의 return인 x (논문에서는 y)

 

위의 네트워크 그림에서 LSTM으로 들어가는 선이 3개라서, return의 2개가 좀 부족하지 않나.. 싶은데, 그냥 y라서 따로 네트워크를 구축할 필요는 없는 듯. 

 

 

 

 

 

 

Recurrent Neural Network Language Model

 

V : fixed size of vocabulary of words

P : output embedding matrix (p : output embedding)

p^(j) : output word embedding (이건 또 뭔 임베딩임 -> Highway Network의 아웃풋을 LSTM으로 넣어줄때의 임베딩인가???)

q : bias term (앞에선 b였는데... 같은 논문 안에서 notation이 바뀌나???

g : composition function

 

Our model simply replaces the input embeddings X with the output from a character-level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Baselines

 

 

 

 

 

CharacterRNNLM

 

 

이 코드의 마지막 부분에서 Classifier가 왜 들어가지? classifier가 왜 필요하지??

 

 

 

 

Optimization

 

 

 

Dropout (드롭아웃)

gradient norm이 gradient clipping맞나? gradient clipping이 왜 crucial하지?? gradient explosion을 방지해줘서??

 

 

 

 

Hierarchical softmax (계층적 소프트맥스)

 

수식의 첫번째 텀은 the probability of picking 클러스터 r

두번째 텀은 the probability of picking 단어 j  (주어진 cluster r이 선택되었을 때)

 

We found that hierarchical softmax was not necessary for models train on DATA-S.

(왜 효과가 없었을까? Data가 가진 complexity가 hsm 대비 낮았던 것 같다)

 

 

References
1) https://www.quantumdl.com/entry/3%EC%A3%BC%EC%B0%A81-CharacterAware-Neural-Language-Models
2) http://web.stanford.edu/class/cs224n/

 

 

 

 

Comments